[용어 정리] VPC
Amazon VPC(Amazon Virtual Private Cloud)에서는 사용자가 정의한 가상 네트워크로 AWS 리소스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.
이 가상 네트워크는 AWS의 확장 가능한 인프라를 사용한다는 이점과 함께
고객의 자체 데이터 센터에서 운영하는 기존 네트워크와 매우 유사합니다.
Private Network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망을 구성하며 내부에 각종 리소스를 탑재할 수 있습니다.
하나의 VPC는 하나의 리전 내에서만 생성이 가능하고, 두개 이상의 리전에 걸쳐서 생성할 수는 없습니다.
대신 하나의 VPC는 여러 개의 AZ(Availability Zone)에 걸쳐서 생성이 될 수 있습니다.
VPC 메뉴를 들어갔을 때, 이미 VPC 하나가 생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AWS 계정을 생성 시
자동으로 생성되는 default VPC입니다.
VPC 생성은 작은 네트워크 환경을 생성한다고 보면 좋을 것 같고 VPC 이름과 IP 대역을 입력해주서 생성할 수 있습니다.
CIDR 형식은 subnet mask를 2진수로 바꾸었을 때 1의 개수를 나타냅니다.
ex) subnet mask가 255.255.255.0이고 192.168.0.0의 IP 대역을 사용한다면 192.168.0.0/24
IP 대역의 경우
10.0.0.0 ~ 10.255.255.255
172.16.0.0 ~ 172.31.255.255
192.168.0.0 ~ 192.168.255.255
중 입력을 해주면 됩니다.
다음으로는 서브넷 탭에서 생성한 VPC 대역 내에서 서브넷을 설정해주어야 합니다.
이는 실제로 사용할 대역과 AZ를 정해줍니다.
여기까지 설정한 후 생성한 VPC와 subnet으로 인스턴스를 생성하면
해당 대역 안에서 private IP가 생성이 됩니다.
- 이 부분은 네트워크 개념이 많이 필요한데 배운지 너무 오래되어서 기억이 많이 안나네여.. 따로 네트워크 공부를 더 한 후 추가를 해야겠습니다..